카테고리 없음

2024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교육학 15번 해설

겸둥이 교육학 시험 2024. 5. 23. 08:58
반응형

 

15. 번스타인(Bernstein)의 계층과 언어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학교교육에서는 제한된(restricted) 언어코드가 많이 사용된다.

학생의 출신 배경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방식이 다르다.

중류층 가정의 학생들은 정교한(elaborated) 언어코드를 많이 사용한다.

노동자 계층 가정의 학생들은 제한된(restricted) 언어코드를 많이 사용한다.

 

1

번스타인(Basil Bernstein)의 사회 계층과 언어 사용 이론

1. 개요

번스타인은 영국의 사회학자로서, 사회 계층과 언어 사용의 관계를 연구했다. 그는 사회 계층에 따라 언어 사용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주장하며이를 제한된 코드와 정교한 코드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설명했다.

2. 제한된 코드와 정교한 코드

제한된 코드 하위 계층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 방식으로, 구체적이고 상황에 밀착된 표현이 많다. 문법적으로 완벽하지 않
거나, 논리적 일관성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제한된 코드는 공유된 경험과 이해에 기반하기 때문에, 같은 계층
의 사람들끼리 서로 쉽게 소통할 수 있지만, 다른 계층의 사람들과는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정교한 코드 상위 계층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 방식으로,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표현이 많다. 문법적으로 완벽하고, 논리적
일관성을 갖추고 있다. 정교한 코드는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른 계층의 사람들과의 소통에도 용이
하다.

 

3. 번스타인의 주장

1) 학교 교육은 정교한 코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위 계층 학생들은 언어적 불이익을 받는다.

2) 하위 계층 학생들은 제한된 코드만 사용하기 때문에, 학교에서 배우 는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언어적 불이 익은 교육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사회 계층 이동을 제한한니다.

4. 비판

1) 사회 계층과 언어 사용의 관계를 지나치게 단순화한다는 비판.

2) 모든 하위 계층 사람들이 제한된 코드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비 .

3) 학교 교육이 정교한 코드만을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은 잘못된 태도라는 비판.

5. 계층에 따른 언어 사용 차이

노동계층 제한된 언어 코드(restricted code) 사용 - 구체적이고 상황 의존적인 언어
중산층 정교한 언어 코드(elaborated code) 사용 - 추상적이고 상황 독립적인 언어

 

6. 언어 사용과 상징적 폭력

1) 학교에서 특정 계층의 언어만을 사용하는 것은 상징적 폭력이라고 주

2) 이로 인해 노동계층 학생들이 교육에서 불이익을 받게 됨

7. 교육과정 분류와 교사-학생 관계

1) 교육과정을 "강한 분류(strong classification)""약한 분류(weak clas sification)"로 구분

강한 분류 교과 간 경계가 뚜렷하고 교사 중심적
약한 분류 교과 간 경계가 모호하고 학생 중심적

 

2) 교육과정 조직원리인 분류와 구조의 개념을 차용하여 사회와 학교교육과 관계에서 분류의 개념이 강조되면 학교는 상대적인 자율성 주장

 

분류
(Classification)
교과목간, 전공분야간, 학과간의 구분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구분된 교육내용들 사이의 경계구분의 선명도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구조
(Frame)
학과내의 조직의 문제로 가르칠 내용과 가르치지 않을 내용의 구분이 뚜렷한 정도, 계열성의 엄격성 정도, 시간 배정의 엄격성 정도, 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분류와 구조가 모두 강하면 집합형(전통적 교육과정)이며, 분류와 구조가 모두 약하면 통합형(진보적 교육과정)에 속한다.

 

7. 교수법

번스타인은 특정 교육과정 형식이 계급적 이데올로기를 실현하고 있는 현상을 밝히기 위하여 아동중심 교수법의 기원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보이는 교수법
(visible pedagogy)
전통적 교육과정(집합형 ;분류와 구조가 모두 강함)에서 사용하는 교수법으로 놀이와 공부가 엄격히 구변되며, 구중간계급에 적용하는 교수법을 의미한다.
보이지 않는 교수법
(invisible pedagogy)
진보적 교육과정(통합형 ; 분류와 구조가 모두 약함)에서 사용하는 교수법으로 '놀이'가 대표적이다.
공부는 곧 놀이가 되고 놀이가 곧 공부이다. 이것은 신중간계급에 적용되는 기법이다.

 

1) 취학전 교육단계에 적용된 다음 점차적으로 중등교육 단계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확대과정에서 전통적 지식교육에        근거한 보이는 교수법과 진보적 교육사조에 근거한 보이지 않는 교수법이 마찰을 일으킨다.

2) 번스타인은 이러한 교수법간의 갈등은 단순한 교육관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관계를 강력한 분류와 구      조로 교육할 것인가 아니면 느슨한 분류와 구조로 교육할 것인가 하는 사회통합의 근본 원리상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3) 이 원리의 차이는 또한 신중간계급이 전통적 중간계급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계급분화와 이 계급분화의 결과로 나        타난 두 중간계급 간의 갈등에서 근원한다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