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 7. 1966년에 발간된 콜만 보고서(Coleman repor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본 문제의식은 학업성취도 격차의 완화기제로서 학교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② 학교조건의 차이는 학업성취도 격차와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③ 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를 설명하는 주된 요인은 가정 배경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④ 다른 연구자에 의해 관련 연구가 이어지지 못함으로써 당시 사용된 분석방법과 자료의 적 합성은 검토되지 못했다.
정답④
콜만 보고서는 학교의 가능성과 학업성취도 격차에 관한 연구로, 학교조건과 학업성취도 격차 사이의 관련성을 검토하였으며, 연구 결과에서는 학교조건이 학업성취도 격차와 큰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를 설명하는 주된 요인은 가정 배경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은 콜만 보고서의 주요 결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④번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콜만(Coleman)은 교육조건이 교육의 기회균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한 결과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그 내용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의 격차는 부모의 사회 경제적 배경에 의해 유발된다. ∙학생의 가정 배경은 학생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학교생활 중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교의 물리적 시설, 교육과정, 교사의 자질 등은 성적에 매우 미세한 영향을 주는데 이중 교사의 자질은 학교의 다른 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적에 주는 영향이 크다. ∙학생 집단의 사회구조는 가정환경과 별도로 학교의 다른 어떤 요인보다 학생의 성적에 영향이 크다 ∙학생이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신념과 태도는 학생의 성적과 매우 관계가 깊다. ∙학교 특성 변인 중 학생 구성 특성과 교사의 자질이 성적에 주는 효과는 전체 10%정도이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