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5. 상담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청 - 상담자가 자신의 선입견, 편견,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내담자의 생각, 감정, 입장까 지 생각하면서 듣는 것이다.
② 질문-내담자의 사고․느낌․행동방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내담자가 새로운 시각 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자극이 된다.
③ 반영 - 내담자의 왜곡된 사고와 신념을 논박하여 내담자가 이를 깨닫게 하는 것이다.
④ 공감-내담자의 내면에 있는 감정을 상담자가 자신의 감정인 것처럼 느끼면서 내담자와 소 통하는 것이다.
정답③(③번 내용은 직면)
※상담의 기술※
③ 반영: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표현된 기본적인 감정·생각 및 태도를 상담자가 다른 참신 한 말로 부언해 주는 것이다. 이것은 내담자의 자기이해를 도와줄 뿐만 아니라, 내 담자로 하여금 자기가 이해받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
형식: “~(사건, 상황, 사람, 생각) 때문에, ~(기분, 느낌, 감정)이구나, 너는 ~하기를 원 하는데”라는 형식을 취한다.
<예>
∙철수 : 우리 엄마 아빠는 제가 의과대학에 진학해서 의사가 되기를 바라세요. 하지만 어 려서부터 제 꿈은 좋은 선생님이 되는 것이었거든요. 저는 사범대학에 진학해서 학생들을 잘 가르치고 지도하는 정말 좋은 선생님이 되는 꿈을 이루고 싶어요. ∙교사 : 네가 장차 의사가 되었으면 하는 부모님의 기대와 교사가 되려는 너의 꿈이 일치 하지 않아서 많이 혼란스러운가 보구 나. 너는 네 꿈을 이루기 위해 의과대학보다 는 사범대학에 진학하고 싶은가 본데……. |
※직면※
∙직면(直面)은 내담자가 모르고 있거나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생각과 느낌에 대해서 주목하도록 하는 상담자의 언급(또는 지적)이다.
∙철수 : “지난 밤 꿈에 저는 아버지와 사냥을 갔는데 제가 글쎄 사슴인 줄 알고 쏘았는데, 나중에 가까이 가보니까 아버지가 죽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깜짝 놀라 잠을 깨었습니다. ‘디어 헌터(Deer Hunter)’라는 영화를 본지 며칠 안 돼서 그런 꿈을 꾸었 는지 모르겠어요.” ∙교사 : “너무 권위적이고 무관심한 아버지가 혹시 일찍 사고(事故)로 세상을 떠났으면 하는 생각이 마음 구석에 있었는지도 모 르겠구나.” |
※해석※
∙상담에서의 해석은 내담자에게 어떤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담자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즉, 내담자로 하여금 과거의 생각과는 다른 각도에서 자기의 행동과 내면의 세계를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철수 : “지난 밤 꿈에 저는 아버지와 사냥을 갔는데 제가 글쎄 사슴인 줄 알고 쏘았는데, 나중에 가까이 가보니까 아버지가 죽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깜짝 놀라 잠을 깨었습니다. ‘디어 헌터(Deer Hunter)’라는 영화를 본지 며칠 안 돼서 그런 꿈을 꾸었 는지 모르겠어요.” ∙교사 : “부모에게 효도해야 한다는 동양 문화권에서 볼 때 그런 꿈을 꾸었다는 사실에 마음이 심란하기도 하겠지요. 그리고 한 편으로는 권위적 존재에 대한 적개심을 간접적으로나마 인정하고 표현했다는 점도 중요하겠지요.” |
※명료화※
∙명료화(明瞭化)는 내담자의 말 속에 내포되어 있는 뜻을 내담자에게 명확하게 말해 주는 것이다.
∙“~라는 말이니?” 또는 “~라는 뜻이니?”라는 형식으로 질문을 한다.
∙선주 : 선생님, 철수 걔는 정말 재수 없는 녀석예요. ∙교사 : 재수 없다는 말은 철수가 밉다는 뜻이니? |
※구조화※
∙상담교사가 상담의 시작 단계에서 학생에게 상담에 필요한 제반 규정과 상담에 있어서의 한계에 대해 설명해 주는 것을 말한다.
∙영 희 : 상담실에는 매일 와야 해요? ∙상담교사 : 상담은 보통 주일에 한 번 하는데 필요하다면 더 자주 할 수도 있단다. ∙영 희 : 그런데, 제가 선생님한테 말씀드리는 거 우리 엄마한테 말씀하실 건가요? ∙상담교사 : 아니란다. 네가 여기서 말하는 것은 선생님만 알고 있을 거야. 하지만 네가 너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해가 되는 일 을 한다고 생각이 들면 부모님께 말씀 드릴 수도 있어. |
∙구조화에 포함된 상담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한 계 | 의 미 |
책임의 한계 | ∙상담교사는 우선 학생의문제와 행동 및 문제해결에 대한 책임이 학생 자신에게 명백히 해야 한다. |
시간의 한계 | ∙상담교사는 학생에게 시간에 대한 규정과 한계에 대해 학생이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설명해 주어야한다. |
행동의 한계 | ∙상담교사는 학생이 자기 자신이나 타인을 해치거나 방화 또는 그 외의 범죄행동이 임박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비밀보장을 파기하는 등 지체 없는 적절한 조처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미리 설명해야한다. |
애정의 한계 | ∙애정에 있어서의 한계를 긋는 것은 상담자의 윤리기준과 관련된 사항이다. 예를 들면, 어린 아동이 교사에게 과자나 선물을 사달라고 하는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한계를 아동에게 설명해야 한다. |
※요약※
∙둘 이상의 언어적 표현들을 서로 묶어서 진술의 내용 부분을 다른 동일한 의미의 말로 바꾸어 기술하는 재진술과 반영의 확대된 형태의 기법이다. 학생의 언어적 표현들 중 여러 요소들을 서로 엮어∙ 공통적인 주제 혹은 유형을 밝혀내고 지나치게 두서없는 이야기를 정리하여 상담의 진척 정도를 검토함으로써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교사 : “영희가 가정이나 학교에 대해서 말한 것을 보면, 모든 생활에서 실패감을 느끼는 것 같구나.” “지금까지 말한 것을 간단히 종합해 볼까?” “오늘 상담에서 우리가 서로 대화한 것을 다시 보도록 해보자. 전체적으로 어떤 이야기를 했다고 생각하니?” |
※자기개방※
자기노출이라고도 알려진 자기개방은 상담교사가 자신에 관한 정보를 학생과 나누는 것을 말한다. 자기개방은 대체로 재진술과 반영, 요약 등에 의해 촉진된다. 자기개방을 적절하게 함으로써 학생이 예전에 생각할 수 없었던 관점들을 나누고 발견하는 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