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존주의 교육철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아동 존중의 원리를 채택한다.
② 교육을 통한 사회 개조를 중시한다.
③ 지식이나 진리의 영원성을 강조한다.
④ 실제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둔다.
[정답] ③
①: 진보주의
②: 문화 개조주의(재건주의)
④: 진보주의
※ 항존주의 문제 풀이 핵심 key word
진리의 절대성, 영원성, 위대한 고전, 불변의 진리
[해설]
항존주의(=영원주의)
1) 기원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콜라학파들의 영원철학에서 비롯됨
2) 개념
-진리와 원리는 변하지 않는다고 믿으며, 진보주의와 여러 세속주의에 반기를 들고 등장한 교육사상
3) 교육 특징
(1) 진리의 ‘절대성’과 ‘영원성’을 중요시 한다.
(2) ‘변화의 원리’를 강조하는 진보주의에 반대한다.
(3) 교육목적의 영원성과 교육의 동일성을 강조한다.
4)교육목적
-장래생활의 준비를 강조하고 교육은 인간을 진리에 적응시키는 것이다. 교육은 모든 사람들을 위해서 보편적이고 동일하여야 한다.
5)교육내용
-고대 그리스·로마의 문학, 철학, 역사 등을 중시하며, 일반교육, 교양교육을 강조한다.
6)교육방법
-본능대로 살고 환경에 적응만 하고 산다면 인간이라 할 수 없으므로 자신의 욕망을 억제하고 사람다운 사람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인간은 극기수련을 해야 한다.
7) 한계
(1) 귀족적이고 금욕적이며, 비판적 정신을 저해한다.
(2) 지적 훈련에 치중하여 조화된 전인교육에 위배된다.
(3) 소수의 엘리트교육이며, 비민주적이다.
(4) 비활동적이며, 문화의 진보에 역행한다.
8) 대표자
허친스(R. M. Hutchins), 아들러(M. J. Alder)
[참고]
1. 진보주의
1) 출발점
-실용주의 철학에 근거
2) 개념
- 전통적인 형식주의 교육에 반기를 들고 민주적인 교육의 이념, 아동의 창의적인 활동, 생활 안의 교육이 소재, 그리고 학교와 사회의 밀접한 관련의 구축 등을 강조
3) 특징
(1) 절대적인 것, 선험적 원리, 불변하는 자연의 법칙을 거부
(2) 상대적이고 도구주의적인 지식관 강조
(3) 변화의 실재에 따른 상대적 가치관 강조
4) 교육목적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계속적 성장과 변화하는 현실에 적응, 전인교육, 생활인 실천인 육성
5) 교육내용
-생활적인 내용을 강조하며 사회기능, 사회문제 중요시
6) 교육방법
-생활중심교육, 자기활동, 문제해결학습, 민주적 교육방식
7) Dewey의 교육사상
(1) 성장으로서 교육
①성장의 조건은 미숙이다.
②미숙은 발전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보아야 한다.
③교육은 삶이고, 삶은 성장이고, 교육은 교육 이외의 목적을 지닐 수 없다.
(2) 반성적 사고
①듀이의 학습심리학의 주된 내용은 다섯 단계의 사고방식을 제시하였다. 이것을 흔히 반성적 사고(문제해결학습)라 고 한다.
②문제해결학습의 절차는 「문제 확인→방향모색→정보수집과 관찰→가설설정→가설검증」의 단계를 거친다.
(3) 경험의 연속으로서 교육
①소극적 경험(전통적인 지식)이 의미를 가지려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와 어떻게 연관성을 지니는가가 문제이다.
②과거에 관한 지식의 이수 자체는 교육의 목적이 될 수 없고 다만 현재의 문제를 푸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수단이 다. 그래서 과거를 현재의 삶과 어떻게 연관시켜 가르쳐야 하는가가 교육방법의 관건이 된다.
(4) 사회성과 도덕성
①도덕교육의 문제는 ‘도덕’교과의 문제가 아니고 바로 교육전반 또는 교육의 본질 자제의 문제이다.
②도덕교육은 덕목 암기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생활 속의 실천적 도덕이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교과에서 도덕교육이 실행되어야 하며, 아동스스로 배우고 활동하면서 도덕을 익혀갈 것을 강조하였다
(5) 소형사회로서 교육
①학교는 사회의 모든 활동을 지니고 있는 소형사회이며, 그런 활동의 원리를 배울 수 있는 배태사회(embryonic society)이다.
②사회에 어떤 규범이 있듯이 소형사회인 학교도 자유와 더불어 통제와 방향제시가 필요하다.
8) 진보주의의 한계
(1) 가장 기본적인 지식을 철저히 가르치지 못한다. 즉, 기초학력이 저하된다.
(2) 전통 문화유산을 경시한다.
(3) 지나친 아동중심주의는 현실성이 없다.
(4) 가치나 지식 중에는 영원불변한 것도 있는데, 이를 소홀히 한다.
(5) 다수의 협동을 강조함으로서 우수한 소수의 지도성을 반영시키지 못했다.
(6) 급변하는 사회에 교육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힘과 철학을 갖추지 못하였다.
9) 대표적 학자
피어스(C. Pierce), 제임스(W. James), 듀이(J. Dewey)
2. 문화 개조주의(재건주의)
1) 개념
-요구되는 신념의 선포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교육철학으로서, 교육은 이 세계를 재건하는 도구가 되어야 하며, 교육의 과정을 통해 이상사회를 건설하려고 하며, 특히 생물·사회학적 과학과 실천에서 얻은 인간 및 사회에 관한 지식을 존중한다.
2) 특징
(1) 교육을 통하여 현대의 문화적 위기(사상, 가치관의 혼란)를 극복하고자 한다.
(2) 기존철학(진보주의, 항존주의, 본질주의)의 무기력함을 극복하고자 한다.
(3) 교육이 사회개혁의 수단인 동시에 역군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한다.
(4) 교육의 목적과 수단은 행동과학에 의해 발견된 결과에 따라 재구성하고자 한다.
3) 교육목적
-민주적인 사회건설과 사회적 자아실현을 강조하였다.
4) 교육내용
-초·중등교육은 일반교육을 지향하며 사회적 자아실현이 가능한 내용을 강조하였다.
5) 교육방법
(1) 자신의 직접경험 또는 타인의 간접경험(역사, 과학, 예술)을 통한 학습을 강조한다.
(2) 교실과 지역사회와의 자유롭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통한 학습을 강조한다.
(3) 소수의 의견을 허용하면서 다수의 공개적인 합의에 도달하는 학습 등을 강조한다.
6) 한계
(1) 가치판단을 다수의 합의에 의한다는 것은 무리이다.
(2) 교육의 힘을 과대평가하며, 행동과학을 지나치게 신뢰한다(규범적․가치적 측면 소홀).
(3) 미래사회를 어떠한 가치관에 근거해서 세울 것인가에 대한 논증이 결여되어 있다.
7) 대표자
-브라멜드(T. Brameld), 카운츠(G. S. Counts), 정약용(수기위천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