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3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교육학 -22번
겸둥이 교육학 시험
2024. 4. 3. 11:51
반응형
22. 피터스(R. S. Peters)가 제시한 교육의 개념적 준거(criter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터스는 자신의 저서 윤리학과 교육에서 교육의 개념을 규정하였다.
② 규범적 준거에 따르면, ‘교육’은 교육의 개념에 붙박여 있는 내재적 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이어야 한다.
③ 인지적 준거는 학습자가 부분적인 기능에 숙달하여도 이를 용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④ 과정적 준거는 교육의 규범적 준거가 방법 면에서 상세화된 것을 말한다.
정답③(인지적 준거는 학습자가 일정한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하는 과정에서의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부분적인 기능에 숙달해도 이를 용인하지 않는다.)
※준거(기준)
규범적 기준 (교육목적론) | 교육은 교육을 하는 그 자체로서 가치롭다. |
인지적 기준(교육내용론) | 지식의 형식교육을 통해서 지식과 이해, 지적 안목을 기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과정적 기준(교육방법론) | 교육의 과정에서 피교육자의 지적참여와 창의적인 개입이 강조되어야 한다. 즉 주입식교육이나 조건화는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법이 아니다. |
※지식의 형식과 지식의 구조※
지식의 형식: Peters, Hirst | 지식의 구조: |
1) 교과중심 -논리학과 수학, 자연과학, 인간과학, 역사, 종교, 문학과 예술, 철학, 도덕적 지식 2)의미 ①공적 전통으로의 입문: 인간이 오랜 역사를 통하여 누적적으로 발전시켜 온 것이며, 오늘날 그것을 유산으로 물려받고 있다 ②선험적 정당화 내가 의식적으로 이것은 받아들여야 하겠다, 아니다 와는 관계없이 성립하는 정당화 3)교육에 대한 정의 문명화된 삶의 형식으로 입문(성년식) 4)허스트(P. H. Hirst)의 교육론 ①전기 -마음의 발달을 위한 지식을 이론적 지식(지식의 형식으로 한정: 이는 합리주의와 주지주의에 의존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자유교육의 이론적 배경이 됨 ②후기 마음의 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그의 후기 사상은 “이론적 지식”이라 할지라도 합리적 사고의 소산이 아니라, 「합리적 실제(Rational practice)」를 바탕으로 형성된다고 봄. 사회적 실제라고도 함 |
1) 학문중심 ①교육내용을 ‘지식의 구조를 핵심으로 조직’ ②나선형 교육과정-교육내용을 나선형으로 조직하며 기본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상향하면서 퍼지는 입체적인 조직 형태임 ③지식의 구조 정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중심 2) 나선형 교육과정의 특징: 표현방식 ①어떤 발달 단계에 있는 아동에게도, 어떤 교과든 지적 성격에 충실한 형태로 가르친다면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하다(피아제 영향 받음). ②발달단계에 따라 작동적 표현(전조작기), 영상적 표현(구체적 조작기), 상징적 표현(형식적 조작기) 등을 활용하여야 한다. 3) 발견학습의 구성요소 ①선행경향성 정의: 학습하고자 하는 의욕이나 경향성 ②지식의 구조 ③계열: 작동->영상->상징적 표현 ④강화(reinforcement)는 학습결과에 대한 보상과 벌에 관련된 개념 |
반응형